요즘 전 세계 주식시장이 인플레이션, 금리인상,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달러 강세 등 거시경제가 좋지 않지만 기업 자체의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 심리적으로 힘들 수 있지만 3년 후 5년 후 10년 후 멀리 내다본다면 이 또한 지나가 추억일 것이다. 이럴 때일수록 기업 본연의 가치가 얼마나 대단한지 시가총액 기준으로 현금성 자산이 얼마나 많은지 찾아보았다. 2022년 9월 30일 3분기 장을 마지막으로 현재 세계 기업들의 시가총액 순위이며 Top 20개 기업은 위의 첨부 사진처럼 어마어마한 시가총액으로 상위에 랭크되어 있다. 오히려 이런 어려운 시기에 현금성 자산이 많은 일류기업은 좋은 기술력을 지닌 회사를 값싸게 M&A를 통해 자본력을 갖춘 상태에서 가치를 끌어올 릴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시가총액..
요새 금리 인상기와 맞물려 주가 하락을 회피하고 안전자산으로의 돈이 이동하고 있다는 뉴스를 많이 접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안전 자산 중에 하나가 채권이다. 채권의 가격 변동이 평소 궁금해서 공부를 하려한다. 해지불가, 고정금리 정기예금 같은 채권 다음 상황은 금리 변동과 가입 기간의 변동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든 예시이다. 은행 정기예금 4%금리가 하루 사이 8%가 된다면 오늘 여윳돈 1억 원을 만기 3년에 금리 4%인 정기예금 상품에 가입했다. (단, 해지할 수 없음을 가정한다.) 3년 후 받게 되는 금액은 어떻게 될까? 1억 원×(1+0.04)^³=112,486,400원 다음 날 만기 3년, 금리 8%인 정기예금 상품이 출시되었다. 3년 후 받게 되는 금액은 다음과 같다. 1억 원×(1+0...
금리와 할인율을 이해한다면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구할 수 있고, 금리 인상기에 주식 가격이 왜 하락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알 수 있다. 금리의 이해 금리는 쉽게 우리가 예금 및 적금 등으로 은행에 돈을 빌려주고 수취하는 이자 및 그 비율이다. 예를 들어, 1억 원을 은행 정기예금에 넣어두고 만기 1년 후 1000만 원을 받게 된다면 금리 10% 상품을 이용한 것이다.(세금 제외) '돈의 가격'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면 3년 만기, 연 복리 10%인 예금에 1억 원을 넣으면 어떻게 계산하는지 살펴보자. 1년 : 100,000,000×(1+0.1)=110,000,000 2년 : 110,000,000×(1+01)=121,000,000 3년 : 121,000,000×(1+0.1)=133,100,000 3년 후..
요즘 언론에서 핫한 금융 용어의 개념을 소개하고, 현 상황을 연관지어 배경지식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 2. 기대인플레이션 3. 소비자물가지수 4. 근원소비자물가지수 인플레이션 :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상품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꾸준히 올라 일반 대중의 실직적 소득이 감소하는 경제 현상 배경 : 각 나라의 중앙은행의 제 1목표는 바로 인플레이션 억제. 물가 안정이다. 코로나 셧 다운 위기를 각 나라 정부에서는 통장에 돈을 꽂아주는 재정정책과 중앙은행의 저금리로 돈을 풀어주는 통화정책으로 위기를 극복해 왔다. 그 결과 코로나 위기에서 벗어나고 있지만, 물가가 어마어마 상승하고 있어 실질 소비 여력이 떨어지고 있다. 2년 전만 해도 이마트에서 한 번 장 보면 10만 원 나오던 ..